한반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또다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최근 발표된 공식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반도 이산화탄소 최고치의 현황과 주요 관측 지점별 수치, 그리고 연간 증가폭의 특징 등을 구조적으로 정리합니다.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는 기후변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정확한 수치와 추이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한반도 이산화탄소 최고치 현황
2024년 한반도 이산화탄소 배경농도는 관측 이래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이 발표한 ‘2024 지구대기감시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3개 주요 관측 지점 모두에서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안면도: 430.7ppm
- 고산(제주): 429.0ppm
- 울릉도: 428.0ppm
이 수치는 모두 1997년 관측 시작 이래 가장 높은 값입니다. 특히 안면도의 경우, 2023년보다 3.1ppm 증가해 최근 10년(2015~2024년) 중 두 번째로 큰 연간 증가폭을 보였습니다.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의 의미와 방법
이산화탄소 배경농도란, 관측 지점 주변의 국지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대기 중에 고르게 섞인 상태에서 측정한 값을 의미합니다. 한반도에서는 안면도, 고산, 울릉도 등 도서 지역에서 주로 관측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방식은 전지구적 변화와 지역적 특성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기상청은 1997년부터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를 체계적으로 관측해왔으며, 매년 ‘지구대기감시보고서’를 통해 결과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이 자료는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 지구대기감시프로그램의 표준을 따릅니다.
연간 증가폭과 최근 10년간 추이
2024년의 연간 증가폭은 최근 10년 내 두 번째로 컸습니다. 안면도에서는 전년도 대비 3.1ppm, 고산은 2.9ppm, 울릉도는 2.4ppm 증가했습니다. 이는 한반도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이산화탄소 농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는 1999년 이후 26년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에도 427.6ppm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최근 10년간(2013~2022년) 연평균 증가율은 2.5ppm/yr에 달합니다.
이산화탄소 외 주요 온실가스 동향
2024년에는 이산화탄소 외에도 메탄, 아산화질소, 육불화황 등 주요 온실가스의 평균 농도 역시 모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온실가스 전반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결론
한반도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2024년 기준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며, 연간 증가폭도 최근 10년 내 두 번째로 큰 수준입니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