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북한 폐수 의혹, 위성사진으로 드러난 실상과 정부 대응

최근 북한 황해북도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에서 방사성 폐수가 서해로 방류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국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드러난 정황과 정부의 공식 대응, 그리고 실제 방사능 측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위성사진으로 확인된 북한 폐수 방류 정황

원격탐사 전문가 정성학 박사는 미국 환경체계연구소의 '월드뷰-3'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의 침전지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배수로와 침출수 흐름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2023년 1월에는 침전지 외부로 연결된 배수로 공사가 포착되었고, 같은 해 10월에는 침전지와 연결된 지하터널을 통해 침출수가 외부 소하천으로 흘러나가는 모습이 위성에 선명히 찍혔습니다.

평산 우라늄공장의 침전지 내부는 수년간 핵물질 가공 과정에서 발생한 고형 폐기물이 쌓이며 포화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침전지의 오염수가 외부로 밀려나 방류된 것으로 파악됩니다.

폐수 유입 경로와 서해 오염 가능성

정성학 박사는 구글어스 지형도를 통해 경로를 분석한 결과, "해당 폐수가 약 2km를 따라 예성강과 합류하고, 이후 강화만과 경기만을 지나 서해로 흘러드는 흐름을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무단 방류가 1년 넘게 진행됐을 것으로 추정하며, 충분히 서해로 빠져나갔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정 박사는 "북한은 폐수를 정화할 기술이나 의지가 없고, 국제사회의 감시를 인지하면서도 배수로와 지하터널을 통해 구조적으로 방류했다"며 "이는 사실상 국제 공동 수역에 대한 고의적 해양 오염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정부 공식 대응과 모니터링 결과

통일부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북한의 해당 지역에서 그와 같은 특이 동향을 포착하지 못했다"며 사실상 보도를 부인했습니다. 환경부와 해수부도 "방사능 오염물질이 아직 검출되지 않았다"고 발표했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전국 244개 지역에 설치된 환경방사선 자동감시기를 통해 평균 15분 간격으로 측정하고 있으며,7월 1일 11시 기준 전국 측정값은 시간당 0.059~0.212μ㏜로 평상시 자연 방사선 준위인 시간당 0.05~0.3μ㏜ 수준으로 정상 범위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강화도 현장 조사 결과

인천 강화군 해수욕장에서 평소 대비 8배가 넘는 방사성 준위가 계측됐다는 인터넷 커뮤니티 주장에 대해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현장 조사관을 직접 파견해 측정한 결과, 시간당 0.2μ㏜ 이내로 정상 범위에 있음을 확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강화군 최북단 북성리 지역에 설치해 운영 중인 환경방사선감시기도 7월 1일 오전 11시 기준 시간당 0.143μ㏜로 정상 준위임을 확인했습니다.

과거 사례와 지속적인 의혹

북한의 폐수 방류 의혹은 2019년에도 제기된 바 있습니다. 당시 통일부는 수질 샘플을 채취해 "특이사항 없음"과 "고방사능 물질 존재하지 않음"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의혹은 2010년대 후반부터 국내외 북한 전문 매체의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불거진 것으로, 최근 평산 공장 인근 오염물 침전지가 포화된 탓에 북한이 배수로를 건설해 의도적으로 핵폐수를 방류하는 정황이 포착됐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정부의 공식 모니터링 결과로는 방사능 오염물질이 검출되지 않고 있지만, 위성사진을 통한 정황 분석과 전문가들의 우려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